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보다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발생한 주요 이유

by 얌얌제주 | 제주 먹스타그램 2023. 2. 15.
반응형

세계 경제 발전의 전환이 된 산업혁명

증기기관차

인류 경제의 역사상 가장 큰 전환점이 되었던 산업혁명은 1760년부터 1820년 사이에(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초반)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의 혁신과 새로운 제조 공법에 따라 사람들의 사회, 문화, 가치관등에 큰 변화를 일으켜 가까운 유럽을 시작으로 아시아까지 전 세계의 경제를 완전히 뒤바꿔 놓았습니다. 

아놀드 토인비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1844년 독일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인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영국의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가 용어를 보다 체계화하였습니다.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에는 한나라의 국력은 인구수에 의해 좌지우지되었습니다. 아시아에서 중국이 발전했던 이유도 인구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즉, 노동력이 한 국가의 자원의 일부가 되었던 시절이었습니다. 산업혁명이 주변국가나 아시아보다 영국에서 먼저 발생하게 된 배경에는 주변 국가들보다 일찍 17세기에 명예혁명을 거치고, 봉건제도가 해체되면서 정치적 성숙과 사회적 안정이 빠르게 이루어져 이전보다 자유로운 노동자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모직물 공업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런 발달을 중심으로 근대산업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모직물은 영국 경제의 비중을 꽤 많이 차지하는 주요 사업이었지만, 곧 모직물 사업이 위협받는 사건이 생겼는데, 그것은 바로 인도의 면직물 때문이었습니다. 인도의 면직물은 영국의 모직물에 비해 가볍고, 세탁이 우수했으며, 서민들이 구매하기에 저렴한 가격이었습니다. 결국 영국의 동인도 회사는 인도에서 면직물을 수입하게 되고 영국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게 됩니다. 이 때문에 영국의 모직물의 수요는 점차 줄어들고 모직물을 판매하는 영국 상인들의 손해는 점점 커졌습니다. 결국 불만이 점점 커지면서 1721년 영국 의회에서는 인도의 면직물 수입을 금지하였습니다. 하지만 영국의 국민들의 수요는 계속해서 늘게 되자 영국인들도 면직물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인도에 비해 인구수도 턱없이 부족하고 임금이 높았기 때문에 노동력과 노동시간 대비 면직물 산업을 키우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사람을 대체하고 면직물을 효율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기계를 발명하게 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기술 혁명이라고 평가받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다양한 방적기가 발명되어 산업혁명을 이끌어갔고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이전보다 능률적인 반자동화 공장이 발전하게 되었으며 광산업과 철강을 이용한 제철산업이 발 전하는 등 다양한 발명품들은 영꾹이 산업화를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은 영국 경제 구조를 완전히 탈바꿈하였으며 동시에 정치 구조 또한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영국은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일찍 귀족과 왕족들이 지배하는 지배체제를 벗어나 자유경제 체제로 바뀌면서 신흥 부르주아 계급이 생기게 되었고 이들이 노동자 계급의 성인들을 하나로 뭉쳐 정치적 선거권을 요구하는 차티스트 운동이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영국의 산업화로 농촌의 젊은 청년들이 도시로 이주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도시 인구의 집중화가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도시에 사람들이 모이면서 증기기관으로 인한 공기오염, 하수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악취와 비위생적인 환경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또한 자본가의 공장 주인들은 노동자들의 노동력을 착취하였고 근로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야간근무 금지법이 제정되었습니다. 또한 어린아이들까지 무자비하게 노동을 시키기도 하면서 어린이의 노동 금지법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노동자들의 비인간적이고 비참한 생활은 자본주의 반대운동으로 전개되었고 이것이 사회주의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동아시아의 패권을 잡고 있던 청나라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는 당시 4억이라는 인구를 가진 풍부한 노동력이 있는 나라였습니다. 이 때문에 산업혁명 이전에는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였고 그렇게 만들어진 물품들이 유럽으로 많이 수출되었습니다. 세계 4대 발명품인 종이, 인쇄, 화약, 나침반은 모두 중국에서 발명되었기 때문에 충분히 영국보다 앞서 산업혁명을 이룰수 있었지만 앞서 말했듯이 일할 수 있는 노동자가 풍부하여 노동력이 저렴했기 때문에 기계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습니다. 그에 비해 영국은 면직물의 수요가 공급보다 늘어나면서 노동력이 필요했지만 영국인들은 인도인들에 비해 임금이 비싸다 보니 인간 대신 효율적으로 일해줄 무언가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영국이 산업혁명을 이룰수 있었던 이유를 간단히 정리하면

첫 번째로 식민지를 통한 풍부한 원료와 자재 자원을 공급하기 용이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풍부한 지하자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세 번째로는 부족한 인적자원과 비싼 임금을 기계의 발명으로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네 번째로 낮은 기준금리로 투자가 활발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메리카 신대륙으로의 항해와 교역이 유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반응형

댓글